자유게시판


오온을 묻는 질문에 답하였습니다.

관리자
2021-04-24
조회수 645


작성일 : 14-02-01 11:04 

 글쓴이 : 뿐냐디빠  




 <설법자 경>들의 정리에 활용하였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법우님. 좋은 질문에 감사드립니다.

우선 '우리 인간은 오온의 집합체에 불과하고'라고 하셨는데, 그보다는 '오온에 대한 집착 상태 또는 집착된 오온[오취온(五取蘊)]'이라고 표현하셔야 정확한 이해라고 하겠습니다.


이때 오온 즉 색-수-상-행-식은 무엇이기에 여기에 집착함으로써 자기존재[sakkāya]인 오취온이 구성되느냐 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바로 '나'에 대한 이해이기 때문입니다.


 경전들에 의하면 오온은 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구분되어 있습니다. 제가 이해하는 바에 의하면, 삶의 전개 과정을 명확하게 단락지어 정의해 준 것입니다. 마음의 mechanism이란 이름으로 우리 법회에서 정리하고 있는 삶의 전개 과정[마음이 몸과 함께 세상을 만나는 이야기]를 특징적인 다섯 과정으로 구분해 설명하는 것이 오온이고, 거기에 집착하면 오취온이며, 집착 때문에 괴로움이 생겨나는 과정을 설명하면 십지연기(十支緣起) 또는 십이연기(十二緣起)가 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될만한 경전을 알려달라고 하셨는데, 상윳따 니까야의 22번 주제[온(蘊) 상윳따]가 직접적으로 오온을 설명하는 경전 모음이고, 35번 주제[육처 상윳따]가 마음이 몸과 함께 대상을 만나는 과정을 좀 더 세밀하게 설명한 경전 모음이며, 12번 주제[인연 상윳따]는 그 과정에서 집착 때문에 괴로움이 생겨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경전 모음이라고 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 4부 니까야 전체가 마음이 몸과 함께 세상을 만나는 가운데 괴로움이 생겨나는 과정으로의 우리 삶의 현실[고(苦)]과 그 현실에서의 탈피[고멸(苦滅)]을 설하는 경전들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그러기에 저는 「4부 니까야를 꿰뚫는 하나의 정신이 있다면 그것은 삶의 현실에 대한 통찰」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0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

ALL RIGHTS RESERVED.




© BYULZZI Corp.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byulz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