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9-03 07:17
글쓴이 : 담마다나
조회 : 9,426
사마타위빠사나 수행처 '세나니승원'
http://cafe.daum.net/senani
senanivihara@daum.net
Tel) 055-345-3487
(621-806) 경남 김해시 진영읍 여래리 736-1 대원상가(대원빌라 옆) 3층 및 옥상
봉덕사 '마음수행학교'에서 담마다야다 반떼께서 하신 법문중에
경전에서 말씀하신 삼매의 중요성에 대한 경전 인용 자료입니다.
부처님께서 그토록 삼매의 중요성을 경전 곳곳에서 설하셨음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경전에서 말씀하신 삼매의 중요성
-디가 니까야(장부) 22. 21 그리고 맛지마 니까야(중부) 141. 31
: 빅쿠들이여, 그러면 바른 삼매란 무엇인가? 여기 빅쿠는 감각적 쾌락을 떼어놓고 해로운 법들을 초월하여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 고찰이 있고 떼어놓음에서 오는 희열과 행복이 있는 초선에 들어 머문다. ...희열과 행복이 있는 2 선정에 머문다. ...행복이 있는 3 선정에 머문다.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는 평정과 알아차림이 청정한 4 선정에 머문다.
-상윳따 니까야 53. 6
: 강가강(갠지즈강)처럼 네 가지 선정을 닦고 계발한 빅쿠는 닙바나로 마음을 기울인다.
-상윳따 니까야 16. 13
: “깟사빠여, 다섯 가지 유해한 것이 정법을 혼탁하게 하고 사라지게 한다. 무엇이 다섯인가? 빅쿠, 빅쿠니, 청신사, 청신녀들이 스승, 법, 상가, 학습 계목, 삼매를 존경하지 않고 순종하지 않으며 머문다. 이러한 다섯 가지 유해한 현상이 나타나면 정법을 혼란하게 하고 사라지게 한다.”
상윳따 니까야 43. 2
:“그러면, 빅쿠들이여 조건 지어지지 않는 법으로 인도하는 길은 무엇인가? 사마타와 위빠사나이다. 이것을 일컬어 조건 지어지지 않은 법으로 인도하는 길이라 한다.
-상윳따 니까야 22. 5
: “빅쿠들이여, 삼매를 닦아라. 삼매에 든 빅쿠는 법을 있는 그대로 안다.”
-맛지마 니까야 151. 19
: “사리뿟따여, 빅쿠는 다음과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계발했는가?’ 빅쿠가 반조하여 ‘나는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계발하지 않았다.’라고 알면 그는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계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사리뿟따여, 빅쿠가 반조하여 ‘나는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계발했다.’라고 안다면 그 빅쿠는 기쁘게 행복하게 밤낮으로 유익한 법들을 닦으며 머물 수 있다.”
-맛지마 니까야 6. 19
: “빅쿠들이여, 빅쿠가 ‘내가 모든 번뇌가 다하여 아무 번뇌 없는 마음의 해탈과 지혜를 통한 해탈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곧바로 아는 지혜를 실현하고 갖추어 머물기를’하고 원한다면, 그는 계를 갖추고 안으로 사마타에 전념하며 선정을 등한시하지 않고 통찰지를 갖추어 빈집에 머물러야 한다.”
-앙굿따라 니까야 5. 22
: 삼매를 완성하지 않고 지혜를 완성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앙굿따라 니까야 6. 68
: 삼매를 완성하지 않고 족쇄를 떨쳐 버린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족쇄를 떨쳐 버리지 않고 닙바나(열반)를 실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앙굿따라 니까야 10. 3
:삼매를 갖춘 사람에게는 “내가 법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기를”이라는 발원을 할 필요가 없다. 바른 삼매를 갖춘 사람이 법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은 순리에 따른 자연스런 과정이다.
-앙굿따라 니까야 5. 24
: 비도덕적이고 계행이 없을 때 계행이 없는 자에게 바른 삼매의 가까운 원인은 결여된다. 바른 삼매가 없을 때 바른 삼매가 결여된 자에게 여실지견의 가까운 원인은 결여된다. 여실지견이 없을 때 여실지견이 결여된 자에게 염오와 탐욕의 빛바램의 가까운 원인은 결여된다. 염오와 탐욕의 빛바램이 없는 자에게 해탈지견의 가까운 원인은 결여된다.- 앙굿따라니까야
삼매: 마음과 마음부수가 하나의 대상에 고르고 바르게 산란함도 없이 흩어짐도 없이 머물 때 그것을 삼매에 든다고 알아야 한다.
특징: 산만하지 않음. 방황하지 않음.
역할: 함께하는 마음부수들을 합치고 뭉치게 한다.
나타남: 평화로움. 지혜로 나타난다.
가까운 원인: 행복. “행복한 사람은 삼매에 든다”라는 말씀.
통찰지
특징: 법을 있는 그대로 꿰뚫는다
역할: 등불처럼 대상을 밝힌다. 어리석음의 어둠을 쓸어버린다.
나타남: 명료한 통찰. 분명한 알아차림.
가까운 원인: 삼매. ‘삼매를 갖춘 빅쿠는 법을 있는 그대로 본다.’
작성일 : 15-09-03 07:17
글쓴이 : 담마다나
조회 : 9,426
사마타위빠사나 수행처 '세나니승원'
http://cafe.daum.net/senani
senanivihara@daum.net
Tel) 055-345-3487
(621-806) 경남 김해시 진영읍 여래리 736-1 대원상가(대원빌라 옆) 3층 및 옥상
봉덕사 '마음수행학교'에서 담마다야다 반떼께서 하신 법문중에
경전에서 말씀하신 삼매의 중요성에 대한 경전 인용 자료입니다.
부처님께서 그토록 삼매의 중요성을 경전 곳곳에서 설하셨음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경전에서 말씀하신 삼매의 중요성
-디가 니까야(장부) 22. 21 그리고 맛지마 니까야(중부) 141. 31
: 빅쿠들이여, 그러면 바른 삼매란 무엇인가? 여기 빅쿠는 감각적 쾌락을 떼어놓고 해로운 법들을 초월하여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 고찰이 있고 떼어놓음에서 오는 희열과 행복이 있는 초선에 들어 머문다. ...희열과 행복이 있는 2 선정에 머문다. ...행복이 있는 3 선정에 머문다.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는 평정과 알아차림이 청정한 4 선정에 머문다.
-상윳따 니까야 53. 6
: 강가강(갠지즈강)처럼 네 가지 선정을 닦고 계발한 빅쿠는 닙바나로 마음을 기울인다.
-상윳따 니까야 16. 13
: “깟사빠여, 다섯 가지 유해한 것이 정법을 혼탁하게 하고 사라지게 한다. 무엇이 다섯인가? 빅쿠, 빅쿠니, 청신사, 청신녀들이 스승, 법, 상가, 학습 계목, 삼매를 존경하지 않고 순종하지 않으며 머문다. 이러한 다섯 가지 유해한 현상이 나타나면 정법을 혼란하게 하고 사라지게 한다.”
상윳따 니까야 43. 2
:“그러면, 빅쿠들이여 조건 지어지지 않는 법으로 인도하는 길은 무엇인가? 사마타와 위빠사나이다. 이것을 일컬어 조건 지어지지 않은 법으로 인도하는 길이라 한다.
-상윳따 니까야 22. 5
: “빅쿠들이여, 삼매를 닦아라. 삼매에 든 빅쿠는 법을 있는 그대로 안다.”
-맛지마 니까야 151. 19
: “사리뿟따여, 빅쿠는 다음과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계발했는가?’ 빅쿠가 반조하여 ‘나는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계발하지 않았다.’라고 알면 그는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계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사리뿟따여, 빅쿠가 반조하여 ‘나는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계발했다.’라고 안다면 그 빅쿠는 기쁘게 행복하게 밤낮으로 유익한 법들을 닦으며 머물 수 있다.”
-맛지마 니까야 6. 19
: “빅쿠들이여, 빅쿠가 ‘내가 모든 번뇌가 다하여 아무 번뇌 없는 마음의 해탈과 지혜를 통한 해탈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곧바로 아는 지혜를 실현하고 갖추어 머물기를’하고 원한다면, 그는 계를 갖추고 안으로 사마타에 전념하며 선정을 등한시하지 않고 통찰지를 갖추어 빈집에 머물러야 한다.”
-앙굿따라 니까야 5. 22
: 삼매를 완성하지 않고 지혜를 완성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앙굿따라 니까야 6. 68
: 삼매를 완성하지 않고 족쇄를 떨쳐 버린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족쇄를 떨쳐 버리지 않고 닙바나(열반)를 실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앙굿따라 니까야 10. 3
:삼매를 갖춘 사람에게는 “내가 법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기를”이라는 발원을 할 필요가 없다. 바른 삼매를 갖춘 사람이 법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은 순리에 따른 자연스런 과정이다.
-앙굿따라 니까야 5. 24
: 비도덕적이고 계행이 없을 때 계행이 없는 자에게 바른 삼매의 가까운 원인은 결여된다. 바른 삼매가 없을 때 바른 삼매가 결여된 자에게 여실지견의 가까운 원인은 결여된다. 여실지견이 없을 때 여실지견이 결여된 자에게 염오와 탐욕의 빛바램의 가까운 원인은 결여된다. 염오와 탐욕의 빛바램이 없는 자에게 해탈지견의 가까운 원인은 결여된다.- 앙굿따라니까야
삼매: 마음과 마음부수가 하나의 대상에 고르고 바르게 산란함도 없이 흩어짐도 없이 머물 때 그것을 삼매에 든다고 알아야 한다.
특징: 산만하지 않음. 방황하지 않음.
역할: 함께하는 마음부수들을 합치고 뭉치게 한다.
나타남: 평화로움. 지혜로 나타난다.
가까운 원인: 행복. “행복한 사람은 삼매에 든다”라는 말씀.
통찰지
특징: 법을 있는 그대로 꿰뚫는다
역할: 등불처럼 대상을 밝힌다. 어리석음의 어둠을 쓸어버린다.
나타남: 명료한 통찰. 분명한 알아차림.
가까운 원인: 삼매. ‘삼매를 갖춘 빅쿠는 법을 있는 그대로 본다.’